> develop your mean____

develop your mean____

  • 분류 전체보기 (132)
    • Today I Learned (44)
    • Project (0)
    • 알고리즘 (28)
      • 커뮤러닝 (9)
    • 독서 (2)
    • 개발공부 기강잡자 (48)
      • Git (11)
      • Java&Spring (11)
      • Python (5)
      • React | JavaScript | NodeJS (13)
      • Web | HTML&CSS (1)
      • C# (0)
      • Android (0)
      • SQL (5)
      • Data (1)
    • 네트워크 (6)
    • 인공지능 (2)
      • 수학 (0)
    • Daily (2)
  • 홈
  • 태그
  • 방명록
  • @윰인이 깃허브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develop your mean____

컨텐츠 검색

태그

Date format 변환 노드JS 문자열 to date 리액트리스트 리액트 TIL 한입크기로잘라먹는리액트 백준2012 백준2785 유데미챌린지 18110 그리디 sql 리스트다루기 python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기술블로그챌린지 MySQL 유데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전체 글(132)

  • [TIL #19] 19일차 오늘의 공부 (2023.03.18 토)

    TIL 2023.03.18 🐣 오늘 배운 것 👩🏻‍💻 독서 "이토록 평범한 미래" Node.js npm을 배웠다. npm은 Node Package Manager로 노드JS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npmjs에서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놓은 다양한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패키지가 매우 많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정말 유용할 것 같다. (.NET Framework를 쓸 때 사용했던 NuGet하고 비슷하다. 그땐 라이브러리 사용을 지양했기 때문에 잘 활용하진 못했지만, JSON 을 유연하게 사용하기 위한 Newtonsoft.Json 패키지를 사용했던 기억이 있다.) 알고리즘 백준 1911 : 예전에 풀다가 못풀어서 시간 초과로 남아있던 문제다. 오늘 다시 열심히 풀어..

    2023.03.19
  • [TIL #18] 18일차 오늘의 공부 (2023.03.17 금)

    TIL 2023.03.17 🐣 오늘 배운 것 👩🏻‍💻 독서 독서를 집중적으로 했다. "이토록 평범한 미래"를 읽는 중인데, 재밌는데 어렵다. 나의 문해력의 한계일까 하하 알고리즘 백준 9095(1, 2, 3 더하기) : DP 문제다. 은근 풀이가 금방 떠올라서 샤샤샥 풀었는데 틀려서 엥? 했다. 차분히 손으로 디버깅 해봤는데 3을 1, 2, 3의 합으로 나타내는 가지 수를 잘못 구해서 틀렸었다. ㅎ 신중하게 풀기! 추가적으로 하면 좋을 것 👍 한입 크기로 잘라먹는 리액트 강의를 섹션 4까지 수강했는데, 다음주 중으로 섹션2~섹션4의 내용을 포스팅해야겠다. (섹션1은 강의 인트로다.) 커밍쑨 🥳 슬슬 리액트로 뭘 만들어보면 좋을지 고민해봐야겠다. 기타 🤔 TIL을 당일에 적도록 하자..

    2023.03.18
  • [TIL #17] 17일차 오늘의 공부 (2023.03.16 목)

    TIL 2023.03.16 🐣 오늘 배운 것 👩🏻‍💻 JavaScript 리액트 강의 섹션 3 JavaScript 응용 수강 완료! 비동기 호출을 어렵다고 회피만 해왔던거 같은데 생각보다 별거 아닌 개념이었다! 나도 모르게 써왔던 부분이었다! async 키워드로 간단하게 비동기함수를 선언할 수 있다. async 함수는 Promise 객체를 반환하기 때문에 resolve 결과값을 핸들링해줘야한다. await 키워드로 비동기 함수를 동기적으로 호출하면 호출된 비동기함수가 모두 수행된 뒤 다음 코드가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await 키워드로 비동기함수를 호출하면 반환되는 값은 Promise 가 아니라 함수에서 리턴하는 값을 받을 수 있다. Node.js Node.js 란 :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

    2023.03.17
  • [TIL #16] 16일차 오늘의 공부 (2023.03.15 수)

    TIL 2023.03.15 🐣 오늘 배운 것 👩🏻‍💻 학교 강의만 들었다.... 한국사랑 영어를 배우고 있는데 어렵지는 않지만 계속 듣는걸 미루게 된다..근데 역시 배우는 건 재밌다. 중고등학생 때 배우고 공부한 적 없는 한국사를 다시 공부하면서 강제로 공부하던 그때보다 재밌게 느껴지고 이번 학기를 계기로 자격증에 도전해보면 더욱 뜻깊을 것 같다. 그리고 영어도 간단한 생활 영어 수준이지만 재밌다. 😝 미루는게 문제지 그래도 공부를 하는걸 싫어하진 않는가 보다. 추가적으로 하면 좋을 것 👍 기타 🤔 학교 수업만 들은 날이라 TIL 작성을 까먹었다. 게을러지지 않도록 해야지..

    2023.03.16
  • [TIL #15] 15일차 오늘의 공부 (2023.03.14 화)

    TIL 2023.03.14 🐣 오늘 배운 것 👩🏻‍💻 SOAP, REST, GraphQL API를 비교하는 글을 읽고 포스팅 했다. '대충'뭔지만 알던 내용들을 정리할 수 있어서 좋았고, 공부는 이렇게 하는거구나 라는 걸 새삼 또 깨달았다. 리액트 강의 섹션 3을 들었다. (아직도 자바스크립트지만, 자바스크립트는 기본적인 문법만 알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부분이 많다!) 비구조화 할당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배웠다. 파이썬에서 한줄로 여러 변수의 값을 바인딩 하는 것과 비슷한 개념인 것 같다. 자바스크립트는 객체도 그렇게 할당이 되고, 객체의 경우는 key 값과 변수명으로 mapping 되어 할당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let object = {one : "one", two:"two", t..

    2023.03.14
  • [API] API 종류 - SOAP vs REST vs GraphQL

    프로그램을 개발하다보면 API를 호출하여 서버의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데이터 처리를 요청한다. 나도 여러가지 프로젝트를 하면서 SOAP 이나 RESTful API를 개발해보기도 하고 호출하기도 했는데, 방식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알지는 못했다. freeCodeCamp 에서 이를 설명해주는 글이 있어 정리해보려고 한다. 영어로 된 문서라 해석이 잘못될 수도 있다. 😅 Intro Client-Server 모델에서 API는 매우 중요하다! 간단하게 말하면, Client-Server 모델은 Requester인 Client가 Provider인 Server에 서비스나 리소스를 요청하는 방식이다. 요청을 받은 Server는 Client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Action을 한다. 대부분의 요즘 어플리케이션들은 Cl..

    2023.03.14
1 ··· 8 9 10 11 12 13 14 ··· 22
윰인이 티스토리
© 2021 DEVUMIN.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